목차
목차
I.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숲의 파괴요인
1. 산불에 따른 숲 생태계 변화
2. 폐탄광지의 발생
3. 사막화의 영향
1) 황사
2) 생물다양성의 감소
3) 토지 생산력 감소
II. 숲의 보전방안
1. 산불 피해지의 복구
1) 복구 프로세스
2) 응급복구
3) 항구복구
2. 폐탄광지의 복구방안
1) 토양관리
2) 수종선정
3) 나무 심는 방법
3. 사막화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
1) UNCCD
2) 사막화방지 해외조림사업
* 참고문헌
I.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숲의 파괴요인
1. 산불에 따른 숲 생태계 변화
2. 폐탄광지의 발생
3. 사막화의 영향
1) 황사
2) 생물다양성의 감소
3) 토지 생산력 감소
II. 숲의 보전방안
1. 산불 피해지의 복구
1) 복구 프로세스
2) 응급복구
3) 항구복구
2. 폐탄광지의 복구방안
1) 토양관리
2) 수종선정
3) 나무 심는 방법
3. 사막화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
1) UNCCD
2) 사막화방지 해외조림사업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분조건을 감안하여 심는 밀도 및 배식 등을 결정해야 한다. 개개의 입지환경요인이 임목의 활착과 생장에 결정적 영향을 주기보다는 대체로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입지환경조사를 통한 조림 여건 판단과 이에 따른 복구관리가 요구된다.
3. 사막화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
1) UNCCD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이란, 사막화 피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심각한 한발 및 사막화를 겪는 국가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측면의 국제적인 지원을 통하여 사막화를 방지하고, 한발 피해를 완화하고자 하는 협약이다.
유엔은 1992년에 열린 리우환경회의에서 의제21을 채택하고, 사막화방지를 위한 지역적, 국제적 협력의 기틀을 마련하기로 결의하였고, 1994년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기후변화협약, 생물다양성협약과 함께 유엔 3대 환경협약 중의 하나로, 전 세계 194개국이 가입해있다.
UNCCD는 단순한 사막화방지의 차원을 넘어, 사막화 지역 주민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개도국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사막화방지가 토질저하, 빈곤 퇴치까지 포함한 사회적, 정치적, 자연적인 환경을 망라하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고, 그 효과도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2) 사막화방지 해외조림사업
우리나라에서 사막화방지를 위한 해외조림사업은 2000년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주요 사업지는 동북아시아 국가 중 중국ㄱ과 몽골의 괴비사막을 중심으로 한 곳이며, 이곳에서 한국으로 불어오는 황사 예방을 목적으로 한 사업이 전개되었고, 이어서 동남아시아 미얀마의 건조 지역 조림사업에도 지원했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조림사업은 개도국을 위한 원조자금인 공적개발기금(ODA)을 활용하여 국제협력단(KOICA)을 중심으로 실시해오고 있으며, 조림사업에 대하여는 산림청에서 기술지원 및 전문가를 파견하여 파트너십을 구축해가고 있다.
* 참고문헌
숲 그리고 희망, 마크런던, 브라이언 켈리 저, 조윤경 역, 예지, 2009
숲과 시민사회 - 전영우 저, 수문출판사, 2002
우리는 너무 오래 숲을 떠나 있었다 - 마이클 J, 코헨 저, 윤규상 역, 도솔출판사, 2001
미래를 여는 소비 - 안젤라 로이스턴 저, 김종덕 역, 다섯수레, 2010
생며과 환경 - 편집부, 예지각, 2008
3. 사막화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
1) UNCCD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이란, 사막화 피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심각한 한발 및 사막화를 겪는 국가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측면의 국제적인 지원을 통하여 사막화를 방지하고, 한발 피해를 완화하고자 하는 협약이다.
유엔은 1992년에 열린 리우환경회의에서 의제21을 채택하고, 사막화방지를 위한 지역적, 국제적 협력의 기틀을 마련하기로 결의하였고, 1994년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기후변화협약, 생물다양성협약과 함께 유엔 3대 환경협약 중의 하나로, 전 세계 194개국이 가입해있다.
UNCCD는 단순한 사막화방지의 차원을 넘어, 사막화 지역 주민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개도국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사막화방지가 토질저하, 빈곤 퇴치까지 포함한 사회적, 정치적, 자연적인 환경을 망라하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고, 그 효과도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2) 사막화방지 해외조림사업
우리나라에서 사막화방지를 위한 해외조림사업은 2000년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주요 사업지는 동북아시아 국가 중 중국ㄱ과 몽골의 괴비사막을 중심으로 한 곳이며, 이곳에서 한국으로 불어오는 황사 예방을 목적으로 한 사업이 전개되었고, 이어서 동남아시아 미얀마의 건조 지역 조림사업에도 지원했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조림사업은 개도국을 위한 원조자금인 공적개발기금(ODA)을 활용하여 국제협력단(KOICA)을 중심으로 실시해오고 있으며, 조림사업에 대하여는 산림청에서 기술지원 및 전문가를 파견하여 파트너십을 구축해가고 있다.
* 참고문헌
숲 그리고 희망, 마크런던, 브라이언 켈리 저, 조윤경 역, 예지, 2009
숲과 시민사회 - 전영우 저, 수문출판사, 2002
우리는 너무 오래 숲을 떠나 있었다 - 마이클 J, 코헨 저, 윤규상 역, 도솔출판사, 2001
미래를 여는 소비 - 안젤라 로이스턴 저, 김종덕 역, 다섯수레, 2010
생며과 환경 - 편집부, 예지각, 2008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