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지보조기
2. 하지보조기
3. 척추보조기
4. 경추보조기
5. 보행 보조기
2. 하지보조기
3. 척추보조기
4. 경추보조기
5. 보행 보조기
본문내용
▷ 조절이 가능한 4개의 금속수직대로 구성되어 있어 경추의 굴곡과 신전 운동 제한에 비교적 효과가 있음.
Halo vest
(할로베스트)
적응증
- 경추 손상, 경추 수술 후
특징
▷ 경추 보조기 중에서 경추 운동을 가장 견고하게 제한하는 보조기
▷ 경추의 손상이나 골절이 있을 경우 외고정 시술로 사용경추의 움직임을 완전히 제한
Minerva cervical brace
(미네르바 경추 고정 보조기)
적응증
- 할로(Halo)보조기를 착용하고 제거 한 후
- 경추의 관절염, 수술 후, 경추의 안정골절 시
특징
▷ 허리부터 경추까지 단단히 고정하여 운동을 제한 하여주는 보조기
5. 보행 보조기
1) 지팡이
가장 단순한 보행 보조장구이며 안정상의 증가, 고관절 외전근의 수축력 감소로 고관절에 미치는 힘의 감소, 편측 하지 체중부하 감소 목적으로 사용된다.
지팡이를 하나만 사용할 때 건측 하지가 지지측이 될 때 전진이 가능하다. 지팡이는 보호해야 할 하지가 유각기에 있을 때 전진한다.
하지에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팡이를 사용하면 환측 하지와 동측 손에 지팡이를 잡고 발과 가까이 지면에 댄다. 그러면 하지와 지팡이에 하중이 분배되며 다리의 하중을 제거할 수도 있다.
2) 목발
손과 팔의 두 점에 접촉되어 지렛대로 작용한다. 액와와 전완 목발이 있다. 액와 목발은 액와의 혈관, 신경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전완 목발은 가볍고 조직손상의 위험이 적고 미관상으로도 좋다.
(1) 이점보행
: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편측 하지에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건측이 입각기일 때 환측과 함께 전진한 다.
(2) 3점 관통유각보행
: 편측 하지의 부재, non-weight bearing plaster로 약간의 무게도 실을 수 없을 때, 장하지 보조기를 착용하 여 체중은 지지하나 독자적으로 움직이지 못할 때 이용된다. 편측 하지 또는 양하지 모두 한 쌍의 목발과 함께 체중을 지지한다. 하지가 전진할 때는 목발에 치중을 지탱하여 목발이 있는 선을 넘어 앞으로 전진하며, 목발 이 전진할 때는 다리에 체중이 지지된다.
(3) 3점 정위유각보행
: 3점 관통유각보행보다 전진거리(활보장)가 짧아 목발이 있는 점까지만 하지를 진전시켜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두 보행은 무게중심의 수직이탈이 많으며, 열량 소모가 많다.
(4) 4점 보행
: 정상보행 동작을 하는 하지가 지팡이나 목발의 외적 도움을 받는 것이다. 양하지 모두 체중의 일부를 지지 할 수 있을 때 사용된다. 좌측 목발, 우측하지, 우측목발, 좌측하지의순서로 움직인다.
올바른 목발 보행법
2점보행
3점보행
4점보행
swing to 보행법
swing through 보행법
3) 보행기
: 틀로 이루어진 지지면 안에서 환자가 서서 보행할 수 있게 된 기구이다. 힘을 수직과 수평으로 가할 수 있 어 보행기를 앞으로 밀고 발을 전진하고 다시 보행기를 민 후 보행하는 식이다.
기립에 되지 않는 환자들은 앉아서 보행 가능하도록 나온 보행보조기가 있다.
<휠체어 (wheel chair)>
<워커 (walker)>
Halo vest
(할로베스트)
적응증
- 경추 손상, 경추 수술 후
특징
▷ 경추 보조기 중에서 경추 운동을 가장 견고하게 제한하는 보조기
▷ 경추의 손상이나 골절이 있을 경우 외고정 시술로 사용경추의 움직임을 완전히 제한
Minerva cervical brace
(미네르바 경추 고정 보조기)
적응증
- 할로(Halo)보조기를 착용하고 제거 한 후
- 경추의 관절염, 수술 후, 경추의 안정골절 시
특징
▷ 허리부터 경추까지 단단히 고정하여 운동을 제한 하여주는 보조기
5. 보행 보조기
1) 지팡이
가장 단순한 보행 보조장구이며 안정상의 증가, 고관절 외전근의 수축력 감소로 고관절에 미치는 힘의 감소, 편측 하지 체중부하 감소 목적으로 사용된다.
지팡이를 하나만 사용할 때 건측 하지가 지지측이 될 때 전진이 가능하다. 지팡이는 보호해야 할 하지가 유각기에 있을 때 전진한다.
하지에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팡이를 사용하면 환측 하지와 동측 손에 지팡이를 잡고 발과 가까이 지면에 댄다. 그러면 하지와 지팡이에 하중이 분배되며 다리의 하중을 제거할 수도 있다.
2) 목발
손과 팔의 두 점에 접촉되어 지렛대로 작용한다. 액와와 전완 목발이 있다. 액와 목발은 액와의 혈관, 신경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전완 목발은 가볍고 조직손상의 위험이 적고 미관상으로도 좋다.
(1) 이점보행
: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편측 하지에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건측이 입각기일 때 환측과 함께 전진한 다.
(2) 3점 관통유각보행
: 편측 하지의 부재, non-weight bearing plaster로 약간의 무게도 실을 수 없을 때, 장하지 보조기를 착용하 여 체중은 지지하나 독자적으로 움직이지 못할 때 이용된다. 편측 하지 또는 양하지 모두 한 쌍의 목발과 함께 체중을 지지한다. 하지가 전진할 때는 목발에 치중을 지탱하여 목발이 있는 선을 넘어 앞으로 전진하며, 목발 이 전진할 때는 다리에 체중이 지지된다.
(3) 3점 정위유각보행
: 3점 관통유각보행보다 전진거리(활보장)가 짧아 목발이 있는 점까지만 하지를 진전시켜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두 보행은 무게중심의 수직이탈이 많으며, 열량 소모가 많다.
(4) 4점 보행
: 정상보행 동작을 하는 하지가 지팡이나 목발의 외적 도움을 받는 것이다. 양하지 모두 체중의 일부를 지지 할 수 있을 때 사용된다. 좌측 목발, 우측하지, 우측목발, 좌측하지의순서로 움직인다.
올바른 목발 보행법
2점보행
3점보행
4점보행
swing to 보행법
swing through 보행법
3) 보행기
: 틀로 이루어진 지지면 안에서 환자가 서서 보행할 수 있게 된 기구이다. 힘을 수직과 수평으로 가할 수 있 어 보행기를 앞으로 밀고 발을 전진하고 다시 보행기를 민 후 보행하는 식이다.
기립에 되지 않는 환자들은 앉아서 보행 가능하도록 나온 보행보조기가 있다.
<휠체어 (wheel chair)>
<워커 (walker)>
추천자료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척수손상
중증 장애인의 고용 현황 및 발전방안
장애인의 정의와 분류 및 장애인복지 실태와 프로그램 분석
인간과 스포츠 의학 - 치유과정
[작업치료][작업치료사][작업치료 개념][작업치료 목표][작업치료 방법][작업치료 문제점][작...
절단의 정의, 치료, 보조기
알코올중독문제와 사회복지대책
성인 간호학
[작업치료][작업치료 목표][작업치료 평가][작업치료 방법][작업치료 직업전망]작업치료의 특...
보조기학과 의지학 종료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장애인) 개념,특성,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장애인) ...
[도수저항운동 (Manual Resistance Exercise)] 도수저항운동의 정의, 도수저항운동, 기계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