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를 겪으면서 부분적으로 그 배치가 변하기도 하였다. 그 자세한 변천 과정은 알 수 없으나, 순조 시대 이후의 전각 배치는 ‘동궐도’, ‘동궐도형’ 및 ‘궁궐지’ 등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 창덕궁 형태 배치도 >
< 창덕궁의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1.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동
주동 이미지 개선(외부 석재 마감)
내부 마감 개선, 입면개선, 1층 필로티 형성, 1개 층 증축, 구조보강
주호
세대면적 확장을 위한 증축,
조망권 확보를 위해 배치를 북쪽으로 변경,
창호 확장 ( 먼지, 소음 대책을 위해 로이유리와 아르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재 및 위험시 대피상 불리
ㄷ. 스킵플로어형 계획시 구조 및 설비상 복잡하고, 설계가 어렵다.
ㄹ. 공용 복도가 중복도일 대 복도의 소음 처리가 특별히 고려되어야 한다.
【3】주동 형식의 종류 및 특성
1. 탑상형
1) 장점
① 대지의 조망, 경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8.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동(主棟)단면형식에 따른 분류
가. 각층통로형 : 공용통로가 각층마다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나. 스킵플로어 형(Skip Floor)
방의 바닥을 반계단씩 떨어뜨려 공간에 변화를 줘 입체적인 방배치가 되도록 한 설계 이다. 공용통로가 각층마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