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일률同一律·배중률排中律이 역易의 논리의 근본이다.
참고문헌 ------------------------------------------------------
1. 유덕선 편 지음, 주역과의 산책, 동반인, 1994.
2. 편집부 편 지음, 대산주역강해, 대유학당, 2002.
3. 김수길 외 지음, 주역입문, 대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남쪽, 다리
감(坎, ) - 水(물), 中男, 빠짐, 북쪽, 귀
간(艮, ) - 山(산), 小男, 그침, 동북쪽, 손
곤(坤, ) - 地(땅), 母, 유순함, 서남쪽, 배
64괘(六四卦) - 8괘를 서로 겹쳐서 64괘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대성괘라고 하며 주역의 본문을 구성하는 괘이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역의 매력일 것이다.
주역은 100여 년 전만해도 주역은 우리 생활에 밀접히 결합되어 있었던 학문이다.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최고의 경전으로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자연의 이치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혜 중의 하나였던 주역이 현대에 들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역을 다룸에 있어 변화 속에는 항시 변통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 이를 요구한다.
즉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감(感)의 포착과 아울러 사안(事案)을 괘(卦)와 상(象)을 통해 융통성 있게 관찰하고 해석 판단함이 필요하다. 그래야 발전이 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서의 문물문화가 교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유력한 기마 민족이 흥기(興起)할 때마다 스텝로의 주역이 바뀌었다. 즉 기원전 7세기부터 스키타이족이 군림(君臨)하였으나 기원전 3세기 경부터는 몽고리아를 제패한 흉노가 이 길을 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