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각에 ‘·’를 더 합성하여‘ㅛ, ㅑ, ㅠ, ㅕ’의 중성자를 만들었다.
4.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각 2점)
(1) ‘달’과 ‘라면’의 ‘ㄹ’은 각각 다른 음소로 인식된다.
- 한국어에서 라면의 ㄹ와 달의 ㄹ는 서로 다른 음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부분에 얹혀서 나타남
⑤연접(이음새) - 숨을 쉴 정도의 휴지는 아니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어붙이는 간격(강원도+산나물, 강원도산+나물)
5.음운규칙
1
분포의 제약
①어두 및 음절초에서의 제약([],ㄹ,ㄴ이 어두에 오기 힘들다. 어두자음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의 차이에 의해서 두 단어의 뜻이 달라진다. 이처럼 어떤 한 가지 음의 다름만으로 뜻이 달라진 두 짝 을 최소 대립어(最小代立語 minimalpair)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최소의 짝을 만든 두 음을 각각 음소라 한다.
- 음소는 어떤 특정 언어와 관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이다. 한편 국어에는 자음과 모음 외에 음장(音長)이라는 운소(韻素)도 가지고 있다. ‘말(馬)/말:(言), 눈(眼)/눈:(雪), 밤(夜)/밤:(栗)’은 각각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의미를 변별하는 힘이 있으므로 국어에서는 음장이 음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이다. 한편 국어에는 자음과 모음 외에 음장(音長)이라는 운소(韻素)도 가지고 있다. ‘말(馬)/말:(言), 눈(眼)/눈:(雪), 밤(夜)/밤:(栗)’은 각각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의미를 변별하는 힘이 있으므로 국어에서는 음장이 음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5.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