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것은 사랑의 결실이자 사랑 그 자체이며 음양오행의 원리를 온몸으로 실행한 것이다.
참고문헌
1. 맹문재. 「현대시의 성숙과 지향」.소명출판, 2005.
2. 고철영. <훈민정음 해례본 : 제자해>. 국어사 2005년 2학기 수업 자료 , 2005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의 제자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자음의 제자원리
자음은 우선 여덟 개로 시작되었다. 그것은 닿소리 글자 다섯(ㄱㄴㅁㅅㅇ)과 홀소리 글자 셋(ㆍㅡㅣ)이다. 글자 만들기에서 닿소리와 홀소리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닿소리의 깊고 얕음>
닿소리에 있어서도 깊고 얕음이 구별된다. 뒤홀소리가 깊은 인상을 주고 앞홀소리가 얕은 인상을 주듯이 조음부가 앞쪽에 있는 치두가 \'얕음\'에 비해서 조음부가 그보다 위에 있는 정치는\'깊은\' 인상을 주게 된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또한 o소리는 맑고 공허하므로, 종성에 쓸 필요 없이 중성만으로 가히 음절을 이룰 수 있다.
ㄷ如 I. 서론
II. 본론(훈민정음해례)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문
III. 결론
IV. 참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창제시 초성과 중성을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문자를 만듦으로써 모음과 자음이 체계적으로 다른 글자꼴을 가지게 되었고 종성은 초성자를 그대로 쓰기로 하였다. 그리고 제자해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訓民正音解例, 制字解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