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항과 서구 건축양식의 유입
2. 식민지시대 토막민의 삶
3. 식민지시대 서양식 건물
1) 서울역
2) 조선총독부
4. 주택
1) 조선주택영단의 주택설계
2) 해방이후 도시의 주거 상황
3) 도시형 한옥
4) 전통적인 주거 생활 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항 기
♦새로운 양식의 도입(세창양행)
2. 식민지 시대
♦화전민, 토막민
♦문화주택
♦영단주택
3. 광복 후
♦해방촌
♦벌집촌
♦청계천 판자촌
4. 박정희 정권
♦새마을 운동
5. 현대
♦타워팰리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거지연구, 목포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0
김정기, 청동기시대 및 초기철기시대의 수혈주거, 한국고고학보 34, 한국고고학회, 1996
나종운, 개항 이후 한국주거건축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신영훈, 한국주거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항 이후 한국주거건축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문홍길. 개화기 이후 한국전래주거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박경옥. “일제시대 일식주택의 변용을 통해 본 주양식의 한일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구식 주택양식의 소개(1940년대-1960년대)
집합주거의 개막과 거실 중심적 구조의 정착 및 농촌의 변화(1970년대)
대규모단지 개발과 다가구, 다세대 주택의 등장(1980년대)
수요자 중심의 주거공간, 사이버와 초고층 아파트(1990년대이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