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왕이 공민왕의 아들이 아니라 신돈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면서 폐가입진(廢假立眞)이라 하여 우왕과 그 아들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 을 옹립하는 명분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고려사》에서도 우왕의 세가(世家)를 열전(列傳)의 반역전(叛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양왕을 폐하여 원주로 방축하였다. 며칠 후 이성계가 개경 수창궁에서 새 국왕으로 즉위한다.
이로써 고려왕조는 34왕 475년만에 종언을 고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박종기,『새로 쓴 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2008.
- 고려시대사 | 박용운 |
고려왕조 몰락 사상적 배경, 사회경제적 고려왕조, 고려왕조의 몰락 배경과 과정 (정치적, 사회경제적, 사상적 배경, 고려왕조, 고려멸망,원인, 과정, 고려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4.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의 음서 혜택받는 연령은 최저 5세로부터 최고 33세까지의 다양한 폭을 가졌다. 시기별로는 고려전기에서 의종대까지의 평균연령이 17.2세, 명종에서 원종까지의 기간이 18.5세, 충렬왕에서 충목왕대까지는 13.7세 공민왕에서 공양왕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양왕을 폐위하여 조선건국을 가시화시켰던 것이다.
< 참고자료 >
한국중세사학회, <고려시대사강의>, 도서출판 늘함께, 2001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2>, 풀빛
박영규, <조선왕조실록>, 들녘, 2002
변태섭, <한국사통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할 때 특히 그렇다.
사진 및 그림 자료
공민왕릉 [恭愍王陵]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무덤.
지정번호 :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23호
소재지 :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시대 : 고려시대
종류/분류 : 분묘유적
[출처] 공민왕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 후기 농민항쟁의 의미
④강화천도와 무신정권의 붕괴
3)공민왕의 개혁
4)대몽항쟁의 결과
①사대부=성리학자의 성장
②성리학의 수용과 분화
③불교계의 변화
④역사편찬
⑤문학과 예술
⑥과학기술과 금속활자 발명
3.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주화(走火) ·촉천화(觸天火) 등의 화기를 제조, 왜구를 격퇴하는 데 사용하였다. 1389년 창왕(昌王) 때 폐지되었다. 1.고려후기 시대적 상황
2.고려후기 정치적 배경
3.고려후기 지배계층의 변화
4.고려후기 문화
5.용어 정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시 유행
6. 최신 흐름은 메트로 섹슈얼
7. 미니스커트의 진실 윤복희 (가수)
8. 기차표·왕자표 고무신의 추억
Ⅱ. 전통과 현대의 의복생활의 변화
1. 옷의 기원
2. 삼국시대의 옷치레(복식)
3. 고려시대의 옷치례
4. 조선시대의 옷치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기구분
Ⅳ. 개혁정치의 추진과 신진사대부의 성장
1.고려 말 개혁정치의 추진 - 충선왕, 충숙왕. 충목왕 공민왕의 개혁정치
2.고려 말 개혁정치의 성격
3.신진사대부의 성장 - 신진사대부의 성장기반, 성장분화에 대하여
Ⅴ. 맺음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왕과 반대세력들이 정계에서 축출되고 공양왕이 즉위했다. 사전전조의 공수가 개시된 지 만 3년이 되는 공양왕 3년 5월, 마침내 과전지급에 대한 기본법규가 반포됨으로써 科田法이 성립되었다. 1. 전시과 체제의 붕괴
2. 농장의 발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