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보조용언의 개념
2. 보조용언의 활용
2.1. 보조동사
2.2. 보조형용사
3. 보조용언의 연구 과정
4. 중세국어의 보조용언
4.1. 보조동사
4.2. 보조형용사
5.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용언에 대한 더욱 활발한 연구를 통해 그 개념이 확실하게 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점이 보완되면 보조용언에 대한 개념이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유혜령, 2005, <학교문법의 보조적 연결어미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동사의 특성”, 한국언어문화
학회, 한국언어문화, 제10집 1992.12, page(s): 5-41
- 손세모돌, “보조용언의 형성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
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제11집 1993.12, page(s): 27-46
- 네이버 지식사전 > 인문과학 > 문학 > 문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형용사를 나타내 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부 피동 조동사가 있는데 피동 조동사에는 ‘지다’와 ‘되다’가 있다.
(16)나는 선생님이 되었다. 서정수(1980), 「보조용언에 관한 연구I-비합성적 보조용언」p.63-87
2.4보조용언의 교육적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학의 이해 국어의 부사화. 새국어생활, 14(4), 0-0.
송창선. (2011). 국어 형태소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언어과학연구, 57, 175-196.
유현경. (2013). ‘있다’의 품사론. 어문론총,(59), 187-210.
양정석. (2001). ‘이다’의 문법범주와 의미. 국어학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2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