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 한미의학, 2015 목차
말초신경계
I. 뉴런의 구조
II. 뉴런의 분류
1. 양극성 뉴런
2. 단극성 뉴런
3. 다극성 뉴런
III. 유수신경섬유와 무수신경섬유
IV. 신경의 변성과 재생
1. 신경의 변성
2. 신경의 재생
*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6.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섬유와 말초에 있는 근육과 같은 효과기와 연결되면 기능적인 재생이 완결된다. 이와 같은 재생과정은 말초신경 섬유에서만 일어나며 중추신경계의 신경섬유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 원인은 잘 알 수 없지만 중추신경계의 뉴런에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섬유(nerve fiber)를 이룬다. 말초신경은 이들 신경섬유가 다발을 이룬 것이며, 중추신경계 내에서는 모여서 백질을 이룬다.
(2) 뉴런의 분류
기능에 따른 분류
감각뉴런(sensort neuron) ,구심성뉴런(afferent neuron) :자극 수용체가 존재하여 감각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뉴런과 운동뉴런의 매개체로 작용하는 interneuron이 있다.
두 번째로 신경교세포는 말초신경계 신경섬유 주위에 수초를 형성하는 쉬반 세포와, 중추 신경계의 축색 주위에 수초를 형성하는 희돌기 세포로,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식작용을 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집(신경초 neurolemmal sheath)
신경세포에 빠른 신경전달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축삭주위를 수초가 싸고 있다. 이 수초주위를 싸고 있는 막을 신경초라 부른다. 특히 말초의 유수신경섬유의 미엘린(myelin)층, 또는 어떤 무수신경섬유의 축삭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