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조직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조직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 다른 시냅스에 도달한 흥분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억제성 전달물질로서는 갑각류의 신경계에서 분비되는 γ-아미노부티르산이 있다. 척추동물의 신경계에서도 이 물질이 억제성 전달물질일 가능성이 높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시냅스는 단지 흥분을 전달하는 중계장소일 뿐만 아니라 거기에 도착하는 흥분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에 따라 가중을 일으키거나, 또는 억제를 일으켜 신경계의 고차적인 통합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어떤 종류의 시냅스에서는 흥분전달이 전달물질에 의하지 않고, 전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있다. 이것을 전기시냅스라고 하여 보통시냅스(화학시냅스)와 구별한다.
2. 신경교세포
신경교세포는 신경계의 90%를 차지한다. 신경교세포는 축색이 없으며, 시냅스를 형성하지 않고 평생 동안 세포분열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신경교세포에는 크게 성상교세포(astrocyte)와 휘돌기교세포가 있고, 말초신경계에는 휘돌기교세포 대신 슈반 세포가 있다. 신경교세포는 대체로 뉴런의 지지체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며, 휘돌기교세포나 슈반 세포는 신경의 축색을 싸고 있는 수초를 만든다. 신경교세포의 또 다른 역할은 손상 입은 신경계를 고치는 일이다. 말초신경계의 뉴런이 손상을 입으면 그 뉴런은 곧 재생이 되며 재생된 축색은 원래의 표적세포를 찾아가는데, 이때 슈반 세포가 재생된 뉴런에게 길을 안내한다. 발생중인 대뇌피질과 소뇌에서도 성상교세포가 돌기를 보내 뉴런을 종착지로 안내한다. 그러나 말초신경계가 평생 이러한 능력을 지니고 있는 데 비해 중추신경계는 발생이 끝남과 더불어 신경교세포의 이러한 안내 기능도 상실된다. 또한 성상교세포는 글루탐산이나 GABA(gamma-aminobutylic acid)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흡수·제거함으로써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종료시키는 역할을 하며, 필요할 때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하기도 한다. 또한 신경교세포는 세포외액과 포도당·아미노산·이온 등의 물질을 교환하여 뉴런 주변의 환경을 조절한다. 뉴런의 활발한 활동이 끝난 직후 신경교세포들은 세포외액으로부터 칼륨 이온을 흡수하여 뉴런 주위의 환경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도록 돕는다.
◎ 중추신경계통
1) 희소돌기아교세포(희소돌기교세포 oligodendroglia)
어원에서 보면 olig-란 숫자나 양이 적은, dendr-는 나뭇가지의 뜻. cyte는 세포를 의미한다. 즉 나뭇가지처럼 튀어나온 돌기가 있지만 돌기의 숫자가 적은 세포를 말한다. 많은 신경원의 축삭 주위를 감아 백색질에서 말이집을 형성한다. 어원에서와 같이 돌기가 적은 세포이고 기능은 중추신경의 피복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즉 말초신경의 슈반세포가 하는 역할을 중추신경계에서 한다.
3) 뇌실막세포(상의세포 ependymal cell)
뇌실계의 내면은 뒤덮는 단층의 원주내지 입방형의 세포를 말하고 그 전체를 뇌실막이라고 한다. 뇌실막세포의 핵은 난원형이고 태생시에 뇌실면에 섬모를 지니며, 바닥면은 가늘고 긴 돌기가 되고 뇌, 척수의 표면의 외경계막에 부착한다. 성인이 되면 섬모를 잃고, 또 많은 곳에서 외경계막과의 부착이 끊겨 상피세포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 뇌실계의 맥락얼기표면에서 볼 수 있는 입방상피는 상파세포엣 j분화한 것이고 뇌척수액의 분비에 관여한다.
4) 미세아교세포(미교세포 microglia)
중배엽에서 유래한 신경 교세포. 핵의 모양은 길쭉하고 돌기에 잔가지가 있는데 조직 안에서 물질의 운반, 파괴, 제거를 담당하고 아메바성으로 포식세포 작용을 한다.
◎ 말초신경계통
1) 신경절아교세포(위성세포 satellite cell)
말초신경계의 신경세포를 둘러싼 슈반세포의 하나.
2) 신경집(신경초 neurolemmal sheath)
신경세포에 빠른 신경전달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축삭주위를 수초가 싸고 있다. 이 수초주위를 싸고 있는 막을 신경초라 부른다. 특히 말초의 유수신경섬유의 미엘린(myelin)층, 또는 어떤 무수신경섬유의 축삭을 나선상으로 둘러싼 얇은 막.
3) 신경집세포(신경초세포 neurolemmal cell; Schwann cell)
슈만집 또는 신경집는 원형질이 큰 유핵세포로서 그 세포막은 유수말초신경의 축삭을 나선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한 개의 슈반세포는 란비에 결절 사이에 말이집을 공급한다.
※ 참고문헌
「국소해부학」/ 고려의학/ 대한해부학회 편
「스넬 임상신경해부학 / 신흥메드싸이언스/ 대표역자: 박경한
「지제근 의학용어사전」/ 아카데미아/ 지제근 엮음

키워드

신경,   조직,   말초,   뉴런,   말이,   교세포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4.2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