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은 수령 체제와 주체 노선을 확립함으로써 개인의 의식과 행위를 제도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을 선택했다. 연구자가 잘 분석했듯이 소련의 실용주의적 노선과 중국의 급진적 계급 투쟁으로의 관철이 아닌 절충주의적 노선을 선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에서는 이를 ‘본위주의’라 한다. 기관 본위주의, 부서 본위주의, 지방 본위주의, 개인 본위주의 등이 그것이다. 이태섭, 『김일성리더십연구』, 들녘, 2001, p.82.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에는 저자가 ‘북한’으로 표현하거나 ‘주어’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태섭, 『김일성리더십연구』, 들녘, 2001, pp.123~124.
당적 지도와 지방주의와 가족주의 타파, ‘당적 사상 체계’를 확립 등을 추진하였으며 ‘천리마 운동’을 통해 물질적 유인을 강화하였다. 개인적 혁신에서 집단적 혁신으로 전환하였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대중운동은 중국이나 소련에서 행해진 것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 것이었음. 당의 지도를 우위에 두고 밑으로부터의 대중 운동이 부각됨. 김일성의 정책 집행 위기와 리더십 위기를 극복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부분이 대중운동이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일성장군』광성 2006년 364P
유영익 외. 『한국과 6·25전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이태섭. 『김일성 리더십 연구』. 들녘, 2001
하루끼와다지음, 이종석 옮김. 『김일성과 민주항일전쟁』. 창비, 1992
서대숙. 『현대북한의 지도자』. 을유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