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세법이라 칭하여 기록하고 있고, 그 이후 조선 정조 때 지은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는‘예도28세’라고 개칭하여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조선세법과 예도 28세는 같은 내용의 검법이다.
그리고 무예도보통지의 본국검의 기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 (여기서 말하는 검은 칼의 총칭이 아니라 형태상의 검, 즉 양날칼을 말한다.) 되어 있고, 예도에는 도법으로 되어 있는데 원본-필자는 <무비지>의 <조선세법>이 그 도보의 내용으로 보아 구전이나 전수자의 기법을 채보한 것이 아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세법 도해
거정세(擧鼎格)
거정세는 솥을 드는 격이다. 법이 능히 솥드는 격으로 위로 들어 살한다. 이때 왼발과 오른손으로 들어 베고 그 반대 자세는 오른발과 왼손으로 들어 배고 칼자루를 이마의 위치에서 한빰에 두고 칼 끝은 눈높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러걸어 찔러 씻는다. (문질러 벤다)
17) 좌협세
좌협세는 즉 왼편으로 껴서 찌르는 것이다. 법히 능히 다질러(문질러 비벼)찔러 가운데를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수두세를 하고 앞으로 향하여 나아가 허리를 친다.
18) 과좌세
과좌세는 즉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대 자세는 오른발과 왼손으로 들어 베고 칼자루를 이마의 위치에서 한 빰에 두고 칼끝은 눈높이 정도에서 멈추며 이 법은 격법으로 공격뿐만 아니라 표두세 공격의 방어법으로도 사용된다.
4. 좌익세(左翼勢)
즉, 왼쪽 날개를 치는 것이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