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위는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 있음.
ㅇ.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4호 단서는 경비원조에 의한 부당노동행위성립의 3가지 예외를 규정하고 있음(이러한 예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부당노동행위로 보지 않음)
- 첫째 근로자가 근로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례검색(http://www.scourt.go.kr)
대법원 1993.5.25. 선고 90누1731 판결 [노동조합설립신고수리취소처분]
대법원 2006.5.11. 선고 2005다20190 판결 [근로자지위부존재확인등]
대법원 2000.1.28. 선고 98두9219 판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대법원 2005.11.24.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된 경우 해고무효확인소송 등이 가능하다.
3. 구제절차의 병존과 판단의 통일
노동위원회에 의한 구제절차와 법원에 의한 민사소송상 구제절차가 병존한다. 다만 대법원 판례는 당해 법원에서 다투고 있는 부당노동행위 성립여부에 대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계약
9) 최저임금제도
10) 연장근로
2. 근로자가 임금체불과 부당해고, 직장 내 성희롱을 당한 경우 어떠한 비사법적 권리구제기관이나 법률구조기관을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명칭을 각각 쓰시오.(배점 10점)
1) 임금체불의 경우 활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감독관 관리에 관한 규정」 42(3)).
2) 노동위원회
부당 해고로 의심되는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비사법기관은 노동위원회이다. 노동위원회는 노사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재판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2.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자를 고용하여 관광업을 하고 있는데 코로나 19사태로 경영이 어려워지자 A, B를 포함한 근로자들을 해고하려고 한다. A, B가 O의 해고가 부당해고라고 주장하려면 어떠한 비사법기관을 활용할 수 있는지, 그 기관은 어떻게 권리구제를 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무효판결이 확정된 후 사용자가 근로자의 복직을 거부한 경우 근로자는 복직거부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해고무효판결에 기한 근로자의 복직을 거부한 사용자에 대한 벌칙규정은 없다. Ⅰ. 서설
Ⅱ. 노동위원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례모음
3. 수급기간과 소정급여일수
4. 기초일액과 구직급여일액의 산정
5. 구직급여의 연장지급
6. 구직급여의 지급유예
7. 구직급여의 지급제한
※자발적 이직자에 대한 구직급여의 지급(2007년도 변경사항)
※나의 생각
8. 부정행위에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 지위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행위로서 조합의 묵시적 승인 내지 수권을 얻은 행위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0. 8. 10. 선고 89누8217 판결) 1. 정당한 조합활동
2. 정당한 조합활동으로 인정된 경우의 주요 판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기준법상의 해고에 해당하고, 퇴직처분에 관하여 내부 인사규정에서 당연퇴직으로 규정하여 그 명칭과 절차를 다른 일반의 해고와 구분하였더라도 마찬가지이다.
[2] 근로자의 담당 업무나 지위, 범죄의 내용, 구속 여부, 당해 범죄행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