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말은 기자(箕子)가 은(殷)나라가 망한 뒤에도 보리만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한탄하였다는 데서 유래했다. 이후 문학 작품 특히, 시가(詩歌) 문학에서 맥수지탄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았다. 온 국민이 한 번쯤은 보았을 정철의 『관동별곡』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건청궁 에서 일어났다. 1929년 대규모 박람회를 열면서 일제는 건청궁을 헐어버리고 1939년에 이곳에 미술관을 지었다. 문화 통치라는 미명아래 임금이 머물던 소중한 건물을 헐어버리고 미술관을 지었다니, 정말 속보이는 행동이다.
복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麥秀之嘆)
기장 서
떠날 리
어조사지
탄식할탄
鼠
竊
狗
偸
11
서절구투-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침/좀도둑
쥐 서
훔칠 절
개 구
훔칠 투
臍
莫
及
19
서제막급-배꼽을 물려해도 물수 없음/
이미 저지른 잘못에 대해 후회해도 소용없음
씹을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麥秀之嘆, 炎凉世態 ② 善遊者溺, 首鼠兩端
③ 礎潤而雨, 子路負米 ④ 風樹之嘆, 金蘭之契
8. ㉠∼㉡ 중 <보기>의 \'之\'와 쓰임이 같은 것은?
<보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① ㉠ ② ㉡ ③ ㉢ ④ ㉣
※(9∼1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麥秀之嘆) 고국의 멸망을 한탄함. 유)망국지탄(亡國之歎).
- 맹모삼천(孟母三遷) 맹자의 어머니가 세 번 이사를 하여 맹자를 교육한 일. 원래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면리장침(面裏藏針)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으로, 겉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