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야금산조 진양조에도 ‘밀고-달고-맺고- 푸는’ 장단이 있으며 이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장단은 ‘밀고-달고-맺고-푸는’ 선율에서 비롯된 것이다.
가야금산조의 진양조에 내재된 미는 선율, 다는 선율, 맺는 선율, 푸는 선율은 각각 다음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산조의 선율분석, 한국국악학회
김문화(2005) / 한국전통음악 선율의 시각 표현 연구 : 가야금 산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강덕원(1988) / 현행 한국전통가곡의 반주선율에 관한 분석적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양조와 마찬가지로 高音域에서 계면조의 절정 부분이 나타났다.
참고문헌
권도희, 가야금산조 평조 유형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4
김해숙, 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김희선·김윤덕, 가야금산조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 산조
● 심상건은?
● 심상건 가야금 산조의 선율 전개과정
2. 김삼태 가야금 산조
● 김삼태는?
● 김삼태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조구성
(1) 단락 1 (제1장단 - 제17장단)
(2) 단 락 2 (제 18장단- 제 20장단)
(3) 단 락 3 (제2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은 악기의 몸통과 열두 현, 현을 지탱해 주는 안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야금 연주 때 오른손이 놓이는 부분에 좌단(坐團) 현침(絃枕) 돌괘 등이 부가되어 있고, 왼손 아래쪽으로 몸통에 줄을 걸기 위한 부들 봉미(鳳尾, 산조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