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세워 중국정부에 간도의 영유권을 확실히 주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우선 백두산정계비의 성격과 ‘동위토문(東爲土門)’의 해석문제, 정계비 건립 이후 조선의 움직임, 압록강의 국계(서간도) 문제와 부속 도서의 귀속문제, 정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 영유권에 관한 역사적 연구」,『한국경제학보』9권 1호,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2.
엄찬호,「조·중간의 경계분쟁과 고지도」,『한일관계사연구』제42집, 한일관계사학회, 2012.
이강원,「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두만강·토문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는 어디인가?
2.국경 분쟁의 역사와 현재의 국경
1) 백두산 정계비
2) 토문강의 위치
3) 간도협약
4) 북한과 중국의 국경
2. 간도 영유권 주장의 근거
1)을사조약을 위반한 간도협약
①조약체결권
②일본 불법행위 원상회복 요구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유권 확인에 관한 결의안’ 국회 제출.
1995
김원웅(金元雄) 의원, 국회에서 “간도는 우리 땅”이라고 주장. 목 차
서론
본론
1.간도는 어디인가?
2.국경 분쟁의 역사와 현재의 국경
1) 백두산 정계비
2) 토문강의 위치
3) 간도협약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0.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토문강
3. 일제 이후 양국 경계선 두만강으로 고착
Ⅱ. 간도영유권분쟁의 시발점 - 간도협약(1909)
Ⅲ. 중국의 간도영유권 탈환을 위한 과정 - 동북공정
1. 거대한 프로젝트
2. 동북공정의 핵심 - 간도
Ⅳ. 조-청 간도영유권분쟁의 발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