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66건

2015.06.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033, 2015.06.15. Ⅰ. 머리말 Ⅱ. 간도 영유권 분쟁 1. 무인 중립지대의 형성 2.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3. 국경회담 4. 대한제국 이후 Ⅲ. 맺음말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건립하였으며 북만주지역의 송화강 유역에 위치하였다. 이후 남하하여 대능하, 요하지역인 발해 연안으로 도읍을 옮겼다. 7. 고조선은 하-은-주시대에 하르빈-농안-장춘-봉천지역과 요하 및 압록강 부근의 진(眞)조선과 대능하와 요하 사이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백두산정계비를 우리나라 사람이 토문강 쪽으로 옮겼다고 생고집을 부렸다. 그로부터 1931년 7월 29일 09시 그 다음날 29일 오전 사이에 정계비는 누군가에 의해 없어졌다. 1909년까지는 아무런 결말을 보지 못했다. 그런데 일본은 1909년 만주의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를 앞세워 중국정부에 간도의 영유권을 확실히 주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우선 백두산정계비의 성격과 ‘동위토문(東爲土門)’의 해석문제, 정계비 건립 이후 조선의 움직임, 압록강의 국계(서간도) 문제와 부속 도서의 귀속문제, 정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백두산정계비 건립을 계기로 변경의식이 고조된 후 실지(失地) 회복 및 국경 강화를 위해 정계비가 세워진 토문강일대와 폐사군(廢四郡)지역의 방어를 강화하자는 주장이다 변방론은 실학(實學)의 특성인 민족주의가 잘 표출되었는데 실학자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9.04.1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