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세워 중국정부에 간도의 영유권을 확실히 주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우선 백두산정계비의 성격과 ‘동위토문(東爲土門)’의 해석문제, 정계비 건립 이후 조선의 움직임, 압록강의 국계(서간도) 문제와 부속 도서의 귀속문제, 정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 안에 보고할 것을 요구하며, 그렇게 하지 않았을 경우 처벌을 받을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송화강 수질오염도 측정
하얼빈시 식수공급 모습
나의 입장에서 만약 중국 지린시에 근무하는 환경관련 공무원이라면, 고위공무원이 아닌 이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 주장이 다르므로 1885년 우리 측에서는 안변부사 李重夏趙昌植이, 청국 측에서는 德王賈元桂秦煐 등이 백두산 정계비와 토문강 상류와의 연결지대를 공동조사 하였다.
그 결과는 우리 주장에 부합되었다. 즉 토문강은 송화강 상류의 한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화강으로 해석하고 왜 그렇게 해석했는지 명확한 이유를 밝히지 못한다. 오히려 그 이유를 찾아보려고 조사를 하면서 찾아낸 것은 본문 ‘2)’ 에 쓴 자료들이다.
간도 문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역사 연구가 계속 진행되면서 새로운 자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에 대한 주권을 포기한 일이 없으므로 중국에 대하여 간도협약의 무효를 선언할 수 있다.
2.5 간도 반환의 이유
1) 우리 땅 간도는 민족, 건국의 발상지이다.
간도지역의 백두산·송화강·흑룡강 일대는 애초 우리 민족건국의 발상지로서 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