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도협약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이일걸, 간도분쟁과 국제관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996.
노계현, 간도영유권문제에 관한 연구, 세림장학회, 1977.
김명기, 간도연구, 법서출판사, 1999.
이일걸, 동서간도지역의 귀속문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제, 안봉철도 연선의 광무문제, 간도귀속문제를 청에 제시함으로써 일본의 종래 입장을 변경하였다. 결국 일본은 1909년 9월 4일 일본은 간도영유권을 포기하는 대신에 청은 동3성 5안건을 일본에 양보하기로 하여 간도협약이 체결된 것이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제에 있어서 당사자임을 자처하는 한국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그러나 남북한이 통일이 될 경우 국가상속 문제에 있어서는 위의 원칙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즉 계승국인 통일한국은 북한중국의 국경획정 이전의 간도협약의 불법성문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 협약도 당연 무효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남북한이 통일되는 날에는 이 국경문제가 다시 거론되어야 할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중국이 백두산 천지 중심으로 양분된 것은 정계비에 의한 국경협정을 무시해버리고 두만강 국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 문제와 부속 도서의 귀속문제, 정계비의 설치지점 및 석퇴(石堆)·토퇴(土堆)·목책의 위치문제, 한말의 각종 장정(章程)과 두차례 감계의 재검토, 조·청간의 무인지대와 봉금정책, 간도협약의 효력문제, 그리고 통일시 북한이 체결한 국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