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루
7. 포(包)
8. 활주
5. 건축의 용어설명
1. 간살이
2. 귀마루
3. 누마루
4. 치미
5. 망새
6. 방풍판
7. 솟을대문
8. 추녀
9. 출목
6 - [1] 사찰건축
1. 사원의 어원
2. 사원의 성립
3. 우리나라의 사원이 주로 산지가람형인 까닭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루랑 온돌이랑 신기한 한옥이야기(국판), 해와나무
○ EBS, 첨단건축, 한옥의 비밀, http://www.ebs.co.kr Ⅰ. 한옥의 온돌
Ⅱ. 한옥의 마당
1. 마당의 발생원인
2. 마당의 기능
3. 마당의 분류
1) 바깥마당
2) 앞마당
3) 뒷마당
Ⅲ. 한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문을 통하지 않고도 바깥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랑 마루와 방문이 외부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랑채의 독립성이 강조되어 있는 것 같았다.
참고문헌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1
박광수, 한옥을 말한다(4*6배판), 일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문 : 한국건축에서 대문의 의장은 주택에 있어서는 계급에 따라 양식을 달리하고, 크게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딸라짐을 알 수 있다. 대문의 종류를 분류하여 보면, 삽작문과 바자문, 평대문, 솟을대문, 일각대문으로 분류되며, 삽작문과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루가 높게 설치되어 있다.
10. 황산리 신씨고가
위치 :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487(민속자료17호)
거창 신씨 집성촌인 황산 마을에 있으며 일명 「猿鶴古家」라 칭한다. 주요건물은 안채, 사랑채, 중문채, 곳간채, 솟을대문, 후문 등으로 구성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