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421~424
- 김금순 외(2014),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499~503 1. 간
1) 구조
(1) 간소엽
(2) 간의 순환
2) 기능
(1) 순환 기능
(2) 담즙생산과 분비
(3) 대사기능
(3) 빌리루빈 대사
(4) 식균작용
(5) 저장기능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 그물 모양의 모세혈관이나 담모세관(膽毛細管)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세포는 중심정맥이라는 가는 정맥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간소엽(肝小葉)이라는 세포군을 이루고 있다. 간소엽이 모여서 간 조직을 이룬다. 외부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left hepatic duct) 등이 출입한다. 간문의 오른편의 앞쪽에는 담낭(gall bladder)이, 왼편의 뒤쪽에는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이 위치하고 있다.
간은 다이아몬드모양의 수많은 간소엽(heptic lobele)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소엽의 한 가운데는 중신정맥(
동물조직학 입술, 소화기 계통 치아, 계통 조직 조사 - 입술, 이(치아)(Teeth) , 식도(Esophagus), 위(Stomach), 십이지장, 췌장(Pancreas), 간(肝, Liver),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der)이, 왼편의 뒤쪽에는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이 위치하고 있다.
2) 간의 미세구조
간은 다이아몬드모양의 수많은 간소엽(heptic lobele)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소엽의 한 가운데는 중신정맥(central vein)이 관통하고 있으며, 그 주변에 간세포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 신동맥은 엽간동맥으로 나뉘어지고 피질과 수질 사이에서 다시 궁상동맥이 되며 여기에서 피질로 향하는 소엽간동맥이 분지된다. 이 소엽간동맥에서 가느다란 수입소동맥이 분지되어 보우만 주머니로 들어간 후 모세혈관이 되어 사구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