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이 일어난지 어언 82주년 맞이하고 있는 지금. 일본과의 관계는 교과서 왜곡과 독도문제 등으로 냉랭한 기운이 돌고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들이 아직 살아있는데 지나온 역사를 가지고 아직도 반성은 커녕 왜곡을 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토오대진재(關東大震災)”와 2003년 간 “간토오대진재(關東大震災) 학살의 기억”의 회고)
김교화, 관동대지진 학살사건이 한,일 관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행정 대학원 남북한 교류협력학과 2003년
● 참고 사진
-동도대진재과안록(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지진과 동아일보의 수난」p44. 전인교육 (사)바른역사추진협의회. 2009.
아사쿠사 지역에서 사지가 잘리고 목까지 잘려나간 조선인 사진[사진제공-김종수 목사]
간토 조선인학살 현장 한국민간조사단 활동보고 (일부)http://www.tongilnews.com/news/ar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1924년
1925년
1926년
국민당 북벌 시작
1927년
국공분열
1928년
1929년
세계 대공황 발발 (미국에서 시작)
1930년
1931년
만주사변
만주국 수립
1932년
이봉창 의거
1933년
히틀러 집권, 나치 독일 성립
1934년
1935년
공산당 대장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지진과 한신 아와지 대지진을 계기로 위기관리와 리더십의 관계에 주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가에는 위기관리관이 설치되고, 현 레벨에서는 방재감을 신설하
는 곳이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위기관리 리더십의 측면에서 몇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