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머리말
2. 객체 높임법
2. 2. 1.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2. 2. 2. 객체 높임법의 실현 양상
2. 2. 3. 특수 어휘에 의한 객체 높임
2. 2. 4. 객체 높임법에 대한 다른 견해
3. 맺음말
<그림 1> 허웅의 15세기 국어 높임법 체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나 몽골어, 여진어 등의 외래어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4. 근대국어
근대국어의 시기는 임진왜란이 지난 직후 곧 17세기 초엽부터 시작된다. 여기서 새삼 강조하고 싶은 것은 임진왜란은 중세어와 근대어 사이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여러 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나 몽골어, 여진어 등의 외래어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4. 근대국어
근대국어의 시기는 임진왜란이 지난 직후 곧 17세기 초엽부터 시작된다. 여기서 새삼 강조하고 싶은 것은 임진왜란은 중세어와 근대어 사이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여러 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의 "힝다가(萬苦)"는 16세기의 문헌에 와서 사라지고 "만일에"로 일관되며, "반가기"(必)도 "반가시, 반드시"로개신되었다. 모음대응(ablaut)에 의한 어의분화도 적극적이다. "곱다(曲):굽다(屈), 갗(皮): (表)
근대국어 이 시기의 언어자료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높임 표현의 개념과 상대 높임법
2. 허웅의 상대 높임법
3. 고영근의 상대 높임법
3. 1. 반말의 상대 높임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