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세기 국어의 객체 높임법 또는 겸손법
1. 머리말
고등학교『문법』교과서(2010:173)에서는 높임법을 “말하는 이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에 대하여 그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라고 한다. 높임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의 변화
시제법의 변화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역사적으로 시제어미 ‘-었-’과 ‘-겠-’이 새로이 생성되었다는 점이다.
현대 국어에서 ‘-었-’은 과거 또는 완결 등을 실현하는데, 이 시제어미는 15세기 국어에서 통사적 구성 ‘-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화 1:150>
ㄴ. 소리 잇다 <능엄 4:126>
ㄷ. 두겨시다 듣독 婚姻 求노다 <석보 111:28>
ㄷ. 그리 아니라 부텨와 과 請려 다 <석보 6:16>
ㄹ. 업스실 오 Ⅰ. 시간 표현
Ⅱ. 때매김법의 종류
2. 1. 현실법
2. 2. 확정법(기정법) 2. 2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겸손하게 자신을 가리키는 말)등의
특정의 공인된 화자를 지칭하는 대명사가 있음.
→ ‘폐하, 전하, 각하, 성하’등으로 공인된 수신인이 있음. 주로 현대에서는 쓰지않는, 권위가 부여된 호칭.
6. 직시 표현의 비직시적 용법 : 조응(照應)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 이기갑. 1983. 전남 북부방언의 상대높임법, <언어학> 5. 한국어언어학회.
16. 이기문. 1972.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17. 이상태. 1995. <국어 이음월의 통사.의미론적 연구>. 형설출판사.
18. 이영경. 1992. 17세기 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