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찬
894년 최치원 시무십도
900년 견훤 후백제 건국
901년 궁예 후고구려 건국
907년 후백제 신라의 10개성 뺏음
918년 왕건 고려건국
926년 발해 거란에 의해 멸망
936년 신라 멸망 후삼국통일
김거칠부전(金居柒夫傳) - 김부식(金富軾)
居柒夫姓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상층신분층 - 중간신분층 - 민 - 노인 - 노비의 내용에서 대왕 - 상층신분층 - 중간 신분층 - 민 - 천민;노비로 변화되었으며 이같은 양상이 율령체계로 정착되었다. 거칠부가 활동하던 삼국시대 취락의 형태
신라시대의 신분 제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고 같이 돌아왔다.
혜량은 신라에서 승통에 임명이 되어 처음으로 백좌강회와 팔관회를 열기도 했다. 이후 거칠부는 상대등이 되어 군사권을 맡아보다 생을 마치게 된다.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장수로 거칠부와 이사부 두 사람을 많이 이야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2.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칠부(居柒夫)를 재빨리 귀국하게 함으로써 체포를 면하게 하였다. 훗날 혜량의 예언대로 거칠부가 대아찬(大阿飡)이 되었는데, 551년(진흥왕 12) 나당(羅唐)연합군이 고구려를 칠 때 거칠부를 따라 신라에 귀화, 진흥왕의 명으로 승통(僧統)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칠부 국사 편찬, 사원(황룡사, 흥륭사), 불교 장려.
단양적성비와 4대 순수비 : 황초령비, 마운령비, 북한산비, 창녕비.
(3) 신라의 북진과정
ㆍ한강유역은 3국간의 국토 쟁탈의 관건이 되는 곳.
ㆍ불리한 지리적 조건상 신라의 성장은 북진.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