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수도의 도입형태는 한 빌딩내에서 정화·재이용되는 개별 순환형 건수가 전체의 60%로 가장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택단지 등의 지구(地區)순환형과 하수처리장에서 전용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광역순환형이 증가하고 있다.
후쿠오카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수도 이용
일본의 중수도 이용은 업무용 빌딩배수의 재사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빌딩배수 재사용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됐으며 80년대 이후 실용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에서는 막분리를 이용한 중수생산 시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축물은 연면적 7,500㎡으로, 1,600㎡ 이상인 건물은 오수와 잡배수를 합류해서 처리하는 합류배수처리 방식을 이용해야 하므로 이 방식을 선택하였다. 오수와 집배수 외에 우수배수도 함께 처리한다.
2.4. 오수처리시스템
1) 중수도 설비
중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1.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축면적
1,853.46 ㎡
연면적
13,850.28 ㎡
건폐율
49.52%
용적율
241.51%
내용
주요사항
자원소비
. 절수기구 사용/우수이용/중수도 시설 설치
. 환경친화공법/환경친화제품 사용
환경부하
. 빙축열 시스템 채용
. 투수성 포장
. 재활용 생활폐기물 분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축은 상업용도가 주를 이룬 도시의 랜드마크적 기능이 강하였지만, 현대의 초고층 건축은 주거복합용도의 입체도시 개념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친환경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구축에 필수적인 테마가 된지 이미 오래이다. 초고층 주거건축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