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한에 만약 토하고 만약 사하한 뒤에 심장 속에 상역해 창만하고, 기가 가슴에 상충하고 일어나면 머리가 아찔하고 침긴맥이고, 발한하면 곧 경락을 동요하고 몸이 떨리면 복령계지백출감초탕으로 주치한다.
茯桂枝白朮甘草湯方
복령계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지 작약 감초 건강 생부 복령 도인 각오분 수전온복하니라.
구미계부탕은 계지 작약 감초 건강 생부자 복령 도인 각각 2g을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如咽痛하면 加桔梗二分半이니라.
여인통하면 가길경이분반이니라.
만약 인두통증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초탕을 투여하면 정강이를 편다.
以承氣湯微,則止其語,故知病可愈。
승기탕은 약간 변당하게 하니 섬어를 멎게 하므로 병이 나음을 알 수 있다.
脛音辛.
경은 발음이 신이다.
주해
○此申釋上文意.
이는 거듭 위 문장의 뜻을 폈다.
象、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지감초탕은 동계를 제거하나 대맥이면 감초를 구워 사용해 자감초탕을 사용한다.
桂枝甘草湯
계지감초탕
桂枝 三錢三分, 甘草二錢二分,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계지 삼전삼분 감초이전이분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계지 13.2g, 감초 8.8g을 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虛則汗後之不足.
허맥은 발한 사하한 뒤에 부족함이다.
、濕也.
삽맥은 습증이다.
與上篇小異而大同.
위 편과 조금 다르나 크게 같다.
桂枝附子湯者,上篇之甘草附子湯,以薑棗易朮之變制也.
계지부자탕은 위 편의 감초부자탕에서 생강 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