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54건

서·통전의 백제악기 : 쟁, 적, 도피필율, 공후 일본후기의 백제악기 : 횡적, 군후(거문고), 막목, → 백제음 음악은 횡적, 거문고, 도피필율의 악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의 영향과 쟁, 우, 지, 공후 등의 악기는 청상(중국의 남조)의 영향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 거문고가 막목, 횡적 등과 하나의 편성을 이루어 고구려의 음악으로 일본에 소개되었다는 사실과도 연관지어 보면, 외래음악 수용이전의 고구려 음악문화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의 고구려 음악 이 밖에 『고려사』 악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악 문화를 누리고 있던 고구려와 백제의 음악을 수용하고 여기에 당나라의 음악, 서역음악을 넓게 받아들여 통일왕국다운 음악 시대를 열어나갔다. 특히,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으로 통일을 하는 과정에서 당과 가깝게 지냈고, 당나라 음악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악 사상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삼보총(통구에 있음)에서 발견된 벽화 "완함, 쟁, 장, 소등의 악기 반주로 무용하는 모습"과 당시 21종의 악기가 있었다는 고서의 내용 등을 통하여 고구려의 음악이 융성하였음을 알 수 있으나 지금은 황조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고구려의 음악은 통전에 이르기를 樂工人紫羅帽 [飾]以鳥羽 “악공들은 세의 깃으로 장식된 자색의 비단모자를 쓰고 黃大袖 紫羅帶 큰 소매의 황색 두루마기에 자색 비단 띠를 띠고 大口袴 赤皮 五色緇繩 넓은 바지에 붉은 가죽신을 신었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