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 론
Ⅱ. 작 품 론
1. 원문
2. 어구 해석 및 분석
3. 현대어 풀이
4. <쌍화점>의 형식적 특징
5. 내용 분석과 작품의 의미 파악
6. ‘여음’ 에 대한 논의
7. ‘작자’ 에 대한 논의
8. 쌍화점 형성 시기(궁중 유입 시기)
9. <삼장>과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통사』2권, 지식산업사, 1985
김대행, 『고려가요의 율격』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박춘규, 「麗代 俗謠의 餘音 硏究」,『語文論集』14집, 중앙대학교국어국문학회
이남구, 「고려속요의 여음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가요의 향유계층과 그 성격」,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과 조동일
) 조동일, 「고려가요 갈래시비」,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은 고려속요는 대체로 원 지배하에서의 지배층, 즉 왕실과 권문세족에 의해 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가요연구",경북대 박사학위논문.
윤영옥 (2001).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장영창 (1993). "유구곡과 정과정의 갈등극복",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경운출판사.
전규태 (1968). 『論註 고려가요』, 정음사.
전규태 (1976). 『고려속요의 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의 유산이라 할 만하다.
2) 고려가요
향가가 쇠퇴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인 속요이다. '고려가요', '장가(長歌)'라고도 부른다. 고려 속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