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국 와해되기에 이르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양인제일화 정책등의 시행으로 부곡제는 한국사에서 그 모습을 감추게 된다.
3. 결론
부곡제는 고려초, 지방간의 격차의 해소와 고려에 반대했던 세력에 대한 통제를 목적으로 설치되었고 향,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정적인 측면을 고려치 않고 정치적인 이유로 이들을 바로 군현으로 승격시켰기 때문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부곡제의 규모문제와 연결된다. 향, 부곡, 소, 처, 장은 각각의 단일 집단만으로는 하나의 군이나 현을 이룰수 없을 정도의 소규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후기 수령임명 실태〉《경북대 논문집》36.
이혜옥, 1985,〈고려시대 수령제도 연구〉《이대사원》21.
박종기, 1986,〈고려시대 군현체계와 계수관제〉《한국학논총》8.
______, 1990,《고려시대 부곡제 연구》, 서울대출판부.
______, 1992,〈고려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 군현제의 또 다른 영역인 부곡제는 이와 같은 농경지 개간이라는 추세 위에서 형성되었던 것이다.
부곡제가 발생한 또 다른 경로는 후삼국 통합전쟁에서 반기를 든 지방세력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조선초기 실록에 따르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 지방 사회와 부곡제」, 2005
이정신,「고려 무신 정권기 농민, 천민의 항쟁에 대한 연구」, 1991
김당택,「고려 무신정권기 농민항쟁 연구론」「고려시대의 대전과 명학소민의 봉기」, 『고려 무인정권과 명학소민의 봉기』서울:다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