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론』, 소명출판, 1998.
張德順, 『韓國文學史』, 同和文化社, 1975.
황패강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2 - 조선시대의 작가 1』, 집문당, 2000.
정상균, 『孤山 詩歌論』, 서울대학교, 1975. 고산 윤선도론
Ⅰ. 서언
Ⅱ. 고산의 생애
1. 당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는 발화의 귀착점이 시적 자아 자신이어서, 시조는 對話를 지향하고 한시는 獨白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시조와 한시에서 발화의 출발점과 발화의 귀착점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표화할 수 있었다.
대 상
자 아
상 대
한 시
출발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5.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산 윤선도 작품의 문학적 특성
Ⅴ. 고산 윤선도의 시조작품론
1. 의의식의 탐구(자연, 서경적인 작품)
2. 생활, 서정 등을 대상으로 한 작품
3. 이념, 사상 등을 배경으로 한 작품
4. 자연미의 탐구
1) 자연애의 의미
2) 풍류스러운 생활태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 연구』, 원광대학교 , 1986.
· 문영오, 『고산윤선도연구(孤山尹仙道硏究)』, 태학사, 1983.
· 이재수, 『윤고산연구(尹孤山硏究)』, 학우사, 1955.
· 박준규, 『유배지에서 부르는 노래』, 중앙M&B, 1997. 05. 30. -목 차-
서 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8.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산의 시가문학>, 현암사, 1966
박준규, <윤고산론>, <나손선생추모논총- 韓國文學作家論>, 현대문학사
<고산유고>, 成大大東文化硏究院, 1981, 권1
장무익, <고산 윤선도의 작품연구>, <<공사논문집>>32집, 1992
박준규,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