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재하면서 다분히 구비문학적 속성도 지녔던 시가의 전통을 간 직하고 있음.
③잡가는 문학사의 단절론을 극복하고 전 근대문화와 근대문화 간의 내적 관계를 해명해 줄 수 있는 주요한 열쇠임.
『고전시가론』-성기옥ㆍ손종흠 공저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연, 유성기 음반, 라디로 방송을 통한 대량 보급 제 1 장 : 총 론
제 2 장 : 상 대 시 가
제 3 장 : 향 가
제 4 장 : 속 요
제 5 장 경기체가
제 6 장 : 악 장
제 7 장 : 시 조
제 8 장 : 가 사
제 9 장 : 잡 가
|
- 페이지 5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 사설의 무한한 확장이 가능한 열린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잡가의 세태묘사는 작품의 시야가 넓어지고, 세상사에 대한 관심이 다양해진 결과로 나타났다고 여겨진다.
9.3.2. 주요 작품의 내용
유산가는 12잡가 중 가장 으뜸인 작품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2잡가는 알려진 긴 잡가와 빠른 휘모리 잡가가 주류를 이룬다.
원래는 유산가(遊山歌)·적벽가(赤壁歌)·제비가·소춘향가(小春香歌)·선유가(船遊歌)·집장가·형장가(刑杖歌)·평양가(平壤歌) 등 8곡인 팔잡가(八雜歌)뿐이던 것을, 정가(正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벽가>는 같은 이름이 판소리에서 <제비가>는 흥부가에서 따 <소춘향가(小春香歌)>처럼 판소리에서 온 것도 있으므로 문학적 성격을 하나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잡가 그 자체로서 전승된 것 중에는 <유산가(游山歌)>가 널리 알
|
- 페이지 10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