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가연구』8집, 2000.
강명혜, 『고려속요 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주)도서출판 북스힐, 2002.
이영태, <서경별곡과 방적기>,『한국고시가의 새로운 인식』,경인문화사, 2003. 1.머리말
2.본론
1)서경별곡의 어석풀이
2)서경별곡의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에 나타난 ‘志節’의 모습>(<<한국학논집>>),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984.
조태영, <『삼국유사』 죽지랑조 기사의 재검토>(<<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호남대학교, 1988.
이임수, <모죽지랑가를 다시 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러한 벗들은 자연의 일부인 것이다.
꽃은 밤비에 피고 빚은 술 다 익것다
거문고 가진 벗이 달 함께 오마터니
아해야 모첨에 달 올랐다 손 오는가 보아라 1.‘산’과 ‘물’의 이미지
2.‘꽃’과 ‘새’의 이미지
3. 隱者들
4. 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2003.
【참고논문】
조성길, “고려속요연구 -시어의 표출구조와 이미지분석을 중심으로-”,(인하대학교 교육대 학원, 1986)
이창환, “고려속요에 나타난 「님」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4, 12).
한종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 시가에 나타난 성(性) 표현의 양상」,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 2004
김학성, 「<處容歌>와 관련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趙慶愛, 「新羅歌謠의 이미지 硏」,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8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