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요」론- 전승문맥의 검토를 통한 성격과 의미 재론, 국어국문학회,『향가연구』,태학사, 1998, 재인용.)
-4-
색다른 풀이로는 ‘보리라’라고 해석한 견해이다. 「來」는 원래 보리의 모양을 나타낸 글자였는데 상고시대에 중국말로 「오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0.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
헌 화 가
2)그 리 움 의 정 서
찬 기 파 랑 가
모 죽 지 랑 가
제 망 매 가
원 가
3)설 득 호 소 의 정 서
처 용 가
안 민 가
우 적 가
풍 요
4)기 원 의 정 서
원 앙 생 가
도 천 수 관 음 가
혜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점정리
5. 배경설화
6. 작 품 설 명
7. 내용연구
8. 작품의 이해와 감상(불교적 측면)
9. 참고문헌
◆ 원왕생가(願往生歌) ◆
1. 원곡
2. 해석
3. 요점정리
4. 배경설화
5. 이해와 감상
6. 해석
7. 참고문헌
◆ 풍 요 (風謠) ◆
1. 원곡
2.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연구』4, 한국시가학회, 1988.
유종국, 「향가 <풍요>의 원형 고찰」, 『국어문학』27, 국어문학회, 1989.
<단행본>
김종우, 『국어국문학총서 제2집 향가문학연구』, 삼우사, 1975.
정병욱, 『증보판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4.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에 나타난 지절의 모습』,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4.
신은경, <서경별곡과 정석가의 공통삽인가요에 대한 일 고찰>,『국어국문학회』96, 1986.
이성주, <고려속요에 나타난 성의식>, 『논문집』15, 관동대학교, 1987.
이성림,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