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겹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두 줄로 배치한 유형으로 관북지방, 태백산지, 소백 산지의 양 사면 등 주로 산간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변산반도에도 약간 나타난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이 한 줄로 배치된 가옥을 말하며, 주로 서부와 남부 지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0.0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과 북부 지방의 절충형
* 멸악산맥 이남~차령산맥이북 관서형과 남부형의 점이적 성격
* 기본구조∼안방, 대청, 건넌방
☆ 기타지역
제주도형 제주도 부엌과 방이 분리, 고팡이 있다. 울릉도형 울릉도 눈에 대한 대비(우데기) 없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팡이라는 작은 광이 있는 一자 중심의 가옥이다.
울릉도형 가옥은 적설량이 많은 겨울철을 지내기 위하여 우데기를 만들어 놓은 것이 특색이다. 제주도형과 비슷하나, 토방, 광, 부엌이 보다 넓어서 겨울철 활동에 편리한 가옥구조이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팡이, 울릉도는 방설벽인 우데기가 특징이다.
14. ④
산촌이 발달한 지역 : 태안 반도, 태백 산지, 과수원 지대
15. 집촌
16. ⑤
17. ⑤
A는 안동 하회 마을로 괴촌의 모양을 한 집촌이다. B는 김제의 간척촌으로 최근에 인위적으로 형성된 산촌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