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자의 제자,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진(晉)나라 사람. 공문십철중 문학이 뛰어남. 賢賢; 앞의 현은 동사로서 어질 게 여기고 높이다, 뒤의 현은 명사로서 어진사람. 易色; 미인을 좋아 하듯이. 能竭其力; 능히 자기의 힘을 다 기울이다. 能
|
- 페이지 79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3.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따라서 삼환의 자손도 미약해지는 것이 당연하다.
論,季,04章-0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友諒友多聞益矣 友便 友善柔 友便 損矣
논,계,04장-0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우직우량우다문익의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
공자께서 말씀
|
- 페이지 9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학생이 사용하는 언어와 일상생활을 관찰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각 학생의 능력과 개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공자가 학생 개개인의 능력을 고려했음은, \"回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이족이 한자를 만들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의견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 내부에서 동이족은 우리민족이고 동이족이 한자를 만들었으니 한자는 우리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최근에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자가 말씀하시길, 善을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福으로서 보답하고, 善을 행하지 않는 자에게는 하늘이 禍로서 갚아준다.
도움말
子; 남자의 존칭, 여기서는 공자(孔子)의 높인 말, BC551-479, 이름은 구(丘), 자(字)는 중니(仲尼), 중국 춘추시대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