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사·관형사·대명사·수사·감탄사·의존명사 편”,
국립국어연구원
노대규(1997) “한국어의 감탄문”, 국학자료원
김기혁(1995) "국어문법연구" 박이정출판사
김기덕외(2003)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임유종(1999) "한국어 부사연구" 한국문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사
성분-독립어/문장부사어* 비교
접속사 설정 논란
양태부사
과연 설마 제발 어찌 하물며
설마 설령 아마 비록
제발 부디 아무쪼록
바로 오직 다만 단지
체언수식 부사어
관형사-부사 품사 통용
다 모두 조금 많이
수량부사어
부정문의 중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하고, 부사는 주로 용언을 수식한다. 그런데 위의 예처럼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도 있기에 이 기준으로 구분할 수는 없다. 둘째, 이동 가능성이다. 관형사는 항상 체언 앞에서 체언을 수식하지만 부사는 이동이 비교적 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00원
- 등록일 2011.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월인, 2003
최재희, 「한국어문법론」, 태학사, 2004
박덕재 외, 「외국어습득론과한국어교수」, 박이정, 2020 Ⅰ. 서론
Ⅱ. 본론
1. 관형사와 부사
2. 관형어와 부사어
3. 올바른 활용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형사의 의미기능, 어학연구 15-2
양동휘(1978), 국어 관형절의 시제, 한글162
이필영(1998), 명사절과 관형사절,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이병관(1999), 중국 현대 어법, 보성
이화영, 한권으로 끝내는 중국어 문법, 지영사
왕문용(1989), 명사 관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