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실수두 을 대입하면,
으로 유도가 된다.
마찰력은 관벽에서 최대이고, 이 때의 반지름을 a이라고 하였을 때, 관벽에서의 마찰력 는 가 된다. 마찰수두 관계식은 항상 성립하기 때문에,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마찰손실계수라고 한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수의 값을 찾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또,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체마찰손실실험장치가 아닌 수직으로 유체가
흐르는 실험장치를 사용하였다. 유체가 흘러가는 관은 1개로 일자 관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 이음새에서 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급축소를 비교해보면 점변화에 비해 급변화에서 손실 수두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론과도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형상 마찰일 때의 손실수두와 손실계수가 모두 관 마찰에서의 손실수두, 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실계수 비교
ELBOW와 MITRE의 손실계수를 비교해보면 MITRE가 더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는 MITRE에서 마찰손실이 더 크게 나타났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ELBOW의 경우는 관을 따라 박리현상이 일어나는 반면 MITRE는 벽과의 충돌로 인해 더 많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오리피스 유량공식 유도
관로에 1단면으로 취하고 오리피스에 2단면으로 취해 베르누이정리를 적용하면아래와 같다.
여기서, 수축계수 를 고려하고 연속방정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위의 식에서 을 구하여 처음 식에 대입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