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산출량의 흐름이 국내총지출보다 클 경우(Y > A)에만 발생하게 됨을 보여준다. 이와 반대로 국제수지의 적자(X < M)는 국내총지출이 국내산출량을 초과하는 경우(Y < A)에만 발생하게 된다. 국내산출량을 초과하는 국내수요가 외국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내총생산의 측정
1. 생산접근방법과 국내총생산
2. 지출접근방법과 국내총지출
3. 소득접근방법과 국내총소득
*GDP 삼면등가의 원칙
II. GDP 외의 국민소득지표
1.국내총생산(GNP)
2. 국민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 NNP)
3. 총산출(gross output)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너 조건식의 우측항에 한계수입성향을 더한 것으로, 탄력성 접근방법과 다르게 물가수준의 변동이 실질국내총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2) Harberger 조건
Ex + Em > 1+m+m*
위 식과 같이 지출에 대한 교역조건효과식을 외국의 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총지출 접근법
개념 : 케인즈학파의 소득-지출분석을 확장하여 미드가 1951년에 압솝션 접근법을 제일 먼저 시도하였고, 알렉산더는 국내총지출 또는 압솝션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총지출을 변화시킴으로써 국제수지를 조정할 수 있다고 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내총생산=소비+투자+정부지출+(순수출)
이때 소비, 투자, 정부지출의 합은 일정기간 국내의 가계, 기업 및 정부가 국산품이나 수입품을 가릴 필요없이 행한 국내총지출(a)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상수지(x-m)는 국내총생산(y)과 국내총지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