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사 자료로 이용
ex) 오려[早稻]에 ‘救荒狄所里 구황되리 一名氷折稻 어름것기’
콩[大豆]에 ‘百升太 온되콩, 火太 블콩, 者乙外太 쟐외콩’ 등
이로파
- 왜학서의 하나로 일본 문자에 정음 문자로 표음한 것이다.
- 처음 4장에는 일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음을 창제하여 최초로 실용한 문헌이란 점에서 그 가치가 있으며, 국어사 연구에는 물론 국문학과 여말(麗末) 선초(鮮初)의 국사를 연구하는 데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아름다운 표현을 보이는 『용비어천가』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1) 정치사적 시대구분 방법
2) 언어사적 시대구분 방법
3) 국가의 흥망에 따른 시대구분 방법
4) 문자의 유무에 따른 시대구분 방법
5) 알타이조어에서 분화에 따른 시대구분 방법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1) 고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그리하여 ㅛ. ㅠ. ㅟ의 세 중모음만이 더 나타난다.
<참고문헌>
우리말 발달사/ 김형주 저/ 세종출판사
국어 음운학/ 허웅 / 정음사
국어사 개설/ 이기문/ 태학사 1. 중세 모음 체계
2. 근대 모음 체계
3. 현대 모음 체계 (20세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사 연구》. 서울.
中村 完. 1995.〈訓民正音の 世界〉, 論文集. 仙台市.
Kontsevich, L. R. 1997. Peculiarities of the Korean Alphabet in its Gra mmatological Aspect. 第5回 朝鮮學國際學術討論會. 大阪.
Kontsevich, L. R. 1997.〈“訓民正音(解例本)”은 한국 전통적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