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본 저술에 대하여, 국어학 16, 국어학회
정진웅(2004), (연속기획)서울 vs 지방 - 표준어와 사투리, 서울과 지방 - 그 중심지향의 문화를 넘어서, 당대비평 제26호 Ⅰ. 서론
Ⅱ. 방언(사투리, 지역어)의 정의
Ⅲ. 방언(사투리, 지역어)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의 분류
1. 경상도 방언
2. 전라도 방언
3. 충청도 방언
4. 강원도 방언
5. 제주도 방언
Ⅳ. 사투리(지역어, 방언)의 가치
1. 문화적 효용
2. 학술적인 가치
Ⅴ. 사투리(지역어, 방언)의 표준어화
Ⅵ. 사투리(지역어, 방언)와 문학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성조 연구에서도 볼 수 있다. 김차균은 김차균(1993, 1994)을 비롯하여 각 지역 방언의 성조를 대조 또는 비교한 논문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대조방언학의 관점에서 두 지역어의 어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형을 쓰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새우\'의 방언형으로 \'생이, 새뱅이, 새갱이, 새강지, 새웅개, 새비\' 등을 비롯하여 모두 10여 개의 방언형이 쓰이고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어휘의 양을 늘려 국어를 살찌우고자 할 때에는 단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및 산업화의 원천이 될 수 있다. 현재 방언으로 휴대전화의 음성을 지원하는 것도 방언을 산업과 연계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표준어로만 되어 있는 전래동화를 각 지방의 방언으로 변환한다면 그 지방의 방언을 반영하는 지역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