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제
(2) 기초 학습
중세 국어의 과거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선어말 어미 ‘-더-’, ‘-거-(-아/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 ‘-더-’와 ‘-거(-아/어-)’의 의미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가 결합된 형태인 \'-ㄹ 것이-\'와 어미 \'-는-\'이나 \'-리\'에 의해서도 미래 시제가 실현될 수 있다. \'내일, 다음에\' 등의 말이 사용되면 미래 시제의 뜻이 더욱 분명해진다.
\'-겠-\'은 단순히 시간의 뜻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2)와 (3)에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6.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제
관형사형에서의 미래 시제는 관형사형 어미 ‘-(으)ㄹ’로 표시되는데, 동사와 형용사에 두루 결합한다.
(39) ㄱ. 그는 내일 서울로 떠날 예정이다.
ㄴ. 물이 깊을 것 같다.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는 이 ‘-(으)ㄹ’에 대해서 “특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제 안에는 어떤 동작이나 사건 속에 시간적 폭이 어떻게 펼쳐져 있는가, 즉 “움직임의 모습의 범주”를 나타내는 상과 “표현 내용에 대한 말할이의 태도”라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보이는 법”의 범주가 있다(허웅:1981).
실제 국어에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들어가며
2. ‘-었-’의 형성과정
3. ‘-었-’의 의미
4. 나오며
5.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