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시제
(2) 기초 학습
중세 국어의 과거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선어말 어미 ‘-더-’, ‘-거-(-아/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 ‘-더-’와 ‘-거(-아/어-)’의 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문법”, 1994, 뿌리 깊은 나무
이관규, “개정판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이익섭임홍빈, “국어 문법”, 1995, 학연사
허웅, “국어학”, 1984, 샘문화사 1. 시제의 개념
2. 시제의 종류
2. 1. 과거 시제
2. 1. 1. 종결형에서의 과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거를, 뒤의 {-었-}은 경험의 진술을 나타내는 것임을 고찰하였다.
2. 요약
첫째, 국어의 선어말 어미 {-었었-}은 시제와 상의 범주를 함께 가지고 있는 ‘혼합자질의 융합체’이므로 시제나 상 어느 일면의 범주로 다루어질 것이 아니라 시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제의 뜻이 더욱 분명해진다.
\'-겠-\'은 단순히 시간의 뜻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2)와 (3)에서 보듯이 추측, 안내, 가능, 의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 때, \'-겠-\'은 미래와만 관련되지 않는다. 시간 개념
시제 분류
▸과거 시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6.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제 교육 방안 연구
- ‘-았’,‘-는’,‘-겠’을 중심으로
<목차>
Ⅰ.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내용과 방법
1.3. 선행 연구
Ⅱ. 한국어 시제의 개념과 기능
2.1 시제의 개념
2.1.1 시제의 범주
2.1.1.1 과거시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