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사(a, an), 수사(one, two,...)와 함께 사용하며,
복수형을 만들 수 있고, How many ... ?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6. 수의일치
국어와는 달리 영어 문장에서 주어는 항상 단수(singular)이거나 복수(plural)이다.
주어가 단수이면 동사도 단수여야 하고, 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문학회편, 『중국어문학통론(中國語文學通論)』(삼진사, 1984).
鮑善淳의 『 樣閱讀古文』.
심경호 옮김, 『한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이회문화사, 1992).
관민의(管敏義), 『옛책의 표점을 어떻게 하느냐( 樣標點古書)』.
서울대 동양사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라.관형사성 접두사
관형사
형태론적 단위(단위 만들기에 관여)
통사론적 단위, 문장의 구성단위
결합할 수 있는 어근이 제한적
ex)덧문, 덧저고리, 덧수건(x)
뒤에 명사성만 갖추고 있다면 그다지 제한적이지 않음 ex)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품사 접속사
1. 의미
2. 접속사의 종류
1) 병렬
2) 첨가
3) 선택
4) 조건
3. 접속사의 구성
4. 다른 품사와 혼동하기 쉬운 접속사
1) 부사냐 접속사냐
2) 조사냐 접속사냐
3) 명사 + 조사냐 접속사냐
Ⅲ. 국어 품사 접속사
Ⅳ. 국어 등위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한국어라면, 영어는 ‘or not’을 문장의 뒤쪽에 이접 시켜서 의문문을 만든다.
Ⅲ. 결론
연구자는 서론에서 연구의 이유에 관해 설명하고 본론에서는 의문문의 사전적 개념을 살펴보면서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
- 페이지 200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