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중의 언어는 일반 사회와는 달리 언어에 다의성을 갖는다.
① 어여쁘다 : 가엾이, 불상하게, 딱하게 등의 의미
② 미안하다 : 섭섭하다, 서운하다, 역겹다 등의 의미
③ 두굿겁다 : 반겨서, 든든하여서, 대견하여서, 기쁘다 등의 의미
④ 가즉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후궁의 빈은 正一品으로 내명부 최고 지위이다. 세자빈의 호칭으로는 宮자를 붙여서 ‘빈궁’ 이라 한다.
▶기타
대군 - 王의 嫡子. 군 - 王의 庶子 및 王世子, 또는 宗室의 경우.
공주 - 王의 嫡女. 옹주 - 王의 庶女.
郡主 - 王世子의 嫡女. 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궁중어가 등장한다. 이런 언어를 듣고 있으면 궁중어는 서둘지 않고 모나지 않고 ‘∼리이까’와 같은 유장한 어미의 분위기에 그 진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초를 읽고 사는 현대인에게 그 경어체를 그대로 따르라는 것은 아니다. 또 그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궁중악과 송도>, 성대문학,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21. 장영우, <만전춘별사의 일탈과 허위 의식>,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임기중 엮음, 경운출판사, 1993
2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23. 강명혜, <만전춘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과학회
◇ 양창우(1988), 기계번역을 위한 한글문장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 이진태 외 3명(1986), 구문중심의 다언어 기계번역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 이하규 외 1명(1994), 기계번역을 위한 한국어 숙어의 표현 및 인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