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존칭호
[2] 왕족의 이칭
[3] 대화에 있어서의 인칭대명사
[4] 대화에 있어서의 어미의 경어체
[5] 경어체의 유형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6] 특수한 다의어
[2] 왕족의 이칭
[3] 대화에 있어서의 인칭대명사
[4] 대화에 있어서의 어미의 경어체
[5] 경어체의 유형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6] 특수한 다의어
본문내용
되었다고 봄이 옳을 것이다.
(3) 허우
‘허우’체는 純 ‘허우’체가 아니라 왕과 王母사이, 세자와 세자빈사이, 또는 왕세손과 옹주 사이같이 무간한 사이에서 주고받는 이야기라 거기에는 엄격한 법의 구애보다도 정애가 앞섰을 것이다.
(4) 허게 체
私語에 있어서 왕세자가 왕세자빈에게 한 말도‘허게’체인데 이의 이인칭대명사는 ‘자네’가 된다.
[6] 특수한 다의어
궁중의 언어는 일반 사회와는 달리 언어에 다의성을 갖는다.
① 어여쁘다 : 가엾이, 불상하게, 딱하게 등의 의미
② 미안하다 : 섭섭하다, 서운하다, 역겹다 등의 의미
③ 두굿겁다 : 반겨서, 든든하여서, 대견하여서, 기쁘다 등의 의미
④ 가즉이 : 갖추다, 갖다, 공손히, 정성되게, 가즉히, 착실히 등의 의미
⑤ 상없다 : 버릇없는, 점잖지 못한, 아무렇게나 등의 상은 버릇을 뜻함
⑥ 아니꼽다 : 속이 뒤틀리는, 메시껍다, 딱하다, 안되었다 등의 의미 변천을 겪음
⑦ 망극 : 끝이 없다, 한이 없다 등의 의미나 망칙한, 슬픔 등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⑧ 가차하다: '사정을 봐주다'의 의미. 대체로 받아들인다, 마음에 두다, 안심하다 등의 의미
⑨ 반하다: 버렸다, 빠졌다 등의 의미
(3) 허우
‘허우’체는 純 ‘허우’체가 아니라 왕과 王母사이, 세자와 세자빈사이, 또는 왕세손과 옹주 사이같이 무간한 사이에서 주고받는 이야기라 거기에는 엄격한 법의 구애보다도 정애가 앞섰을 것이다.
(4) 허게 체
私語에 있어서 왕세자가 왕세자빈에게 한 말도‘허게’체인데 이의 이인칭대명사는 ‘자네’가 된다.
[6] 특수한 다의어
궁중의 언어는 일반 사회와는 달리 언어에 다의성을 갖는다.
① 어여쁘다 : 가엾이, 불상하게, 딱하게 등의 의미
② 미안하다 : 섭섭하다, 서운하다, 역겹다 등의 의미
③ 두굿겁다 : 반겨서, 든든하여서, 대견하여서, 기쁘다 등의 의미
④ 가즉이 : 갖추다, 갖다, 공손히, 정성되게, 가즉히, 착실히 등의 의미
⑤ 상없다 : 버릇없는, 점잖지 못한, 아무렇게나 등의 상은 버릇을 뜻함
⑥ 아니꼽다 : 속이 뒤틀리는, 메시껍다, 딱하다, 안되었다 등의 의미 변천을 겪음
⑦ 망극 : 끝이 없다, 한이 없다 등의 의미나 망칙한, 슬픔 등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⑧ 가차하다: '사정을 봐주다'의 의미. 대체로 받아들인다, 마음에 두다, 안심하다 등의 의미
⑨ 반하다: 버렸다, 빠졌다 등의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