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 후기 궁중 언어의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조 후기 궁중 언어의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존칭호

[2] 왕족의 이칭

[3] 대화에 있어서의 인칭대명사

[4] 대화에 있어서의 어미의 경어체

[5] 경어체의 유형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6] 특수한 다의어

본문내용

되었다고 봄이 옳을 것이다.
(3) 허우
‘허우’체는 純 ‘허우’체가 아니라 왕과 王母사이, 세자와 세자빈사이, 또는 왕세손과 옹주 사이같이 무간한 사이에서 주고받는 이야기라 거기에는 엄격한 법의 구애보다도 정애가 앞섰을 것이다.
(4) 허게 체
私語에 있어서 왕세자가 왕세자빈에게 한 말도‘허게’체인데 이의 이인칭대명사는 ‘자네’가 된다.
[6] 특수한 다의어
궁중의 언어는 일반 사회와는 달리 언어에 다의성을 갖는다.
① 어여쁘다 : 가엾이, 불상하게, 딱하게 등의 의미
② 미안하다 : 섭섭하다, 서운하다, 역겹다 등의 의미
③ 두굿겁다 : 반겨서, 든든하여서, 대견하여서, 기쁘다 등의 의미
④ 가즉이 : 갖추다, 갖다, 공손히, 정성되게, 가즉히, 착실히 등의 의미
⑤ 상없다 : 버릇없는, 점잖지 못한, 아무렇게나 등의 상은 버릇을 뜻함
⑥ 아니꼽다 : 속이 뒤틀리는, 메시껍다, 딱하다, 안되었다 등의 의미 변천을 겪음
⑦ 망극 : 끝이 없다, 한이 없다 등의 의미나 망칙한, 슬픔 등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⑧ 가차하다: '사정을 봐주다'의 의미. 대체로 받아들인다, 마음에 두다, 안심하다 등의 의미
⑨ 반하다: 버렸다, 빠졌다 등의 의미

키워드

  • 가격2,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