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자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구별의 실익이 있다(§580Ⅱ).
① 권리흠결설
법률상 장해는 소유권의 행사에 대한 제한이므로 권리의 흠결로 보아야 하고 따라서 제575조의 담보책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이다(다수설). 따라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자에 대한 담보책임 규정
2. 민법 제580조의 표제
3. 로마법상의 담보책임
4. 소결
III. 우리 민법상 하자에 대한 담보책임
1. 의의
2. 법적 성질
3. 특이점
Ⅳ. 로마법상의 하자에 대한 담보책임
1. 권리의 하자
2. 물건의 하자
Ⅴ. 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책임의 문제인가. 민법의 하자담보책임은 선의 무과실을 요건으로 하므로 이 때에는 채무불이행책임이 생긴다고 해석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약속이 담보책임에 관한 특약으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3. 물건의 하자에대한 담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담보책임을 면하는 특약을 하여도 그 면책특약은 무효이다(제584조). 그러나 매수인이 그 목적물의 하자 있음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그 면책특약은 유효하다.
Ⅳ. 결 론
매매에 의하여 매수인이 취득한 물건이나 권리에 하자가 있을 경우 매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자담보책임규정을 살펴보면 이들 법규정은 무과실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분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일본을 통한 독일법을 계수함으로써 권리의 하자에 대한 담보책임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이해하는 등 기본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