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자담보책임의 객관적 책임요건이 주관주의로 바뀌어 매수인의 귀책성(악의 또는 과실)이 매도인의 담보책임발생의 요건인 현행민법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Ⅴ.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로마법상의 하자담보 책임은 현행 민법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담보책임을 지지아니한다.
ⅲ제1643조 담보책임면제의 특약
매도인은 물건에 하자 있음을 모른 때에도 담보책임이 있다. 그러나 하자 있음을 모르고 담보면제의 계약을 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ⅳ제1644조 하자담보의 효과
민법 제1490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일반원칙의 변질은, 북한 민법전이 마지못해 제정된 것이며 그 때문에 주체사상 및 사회주의사상이 민법전에 억지로 끼워졌다는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북한법상의 하자담보책임의 뿌리가 이 로마법 및 현행 우리민법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마사법의 발전에 있어 꾸준히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는 담보책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고등안찰관 aediles curules은 노예와 가축의 매매에 관한 고시를 발표하여, 매도인에게 일정한 하자를 과하고, 그러한 하자가 없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책임에 대한 입법추이를 보면, 하자없는 물건의 급부의무를 인정하고, 그에 따라 하자담보책임이 일반급부장애법에 포섭되고, 그리고 매도인의 책임은 garantie(보증)책임으로서 그 ‘의무위반’이 있다면 ‘과실’에 의거하지 않고 일정의 책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