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용직근로자의 연장, 야간근로수당 과세여부
생산직 일용근로자의 경우 월정액급여에 관계없이 연장시간근로, 야간근로로 인하여 통상임금에 가산하여 받는 급여(한도 없음)는 비과세 된다.
단, 건설업을 영위하는 업체의 건설현장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장 근로가 된다. 그리고 이 제도하에서의 야간근로(하오10시부터 상호6시까지)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이상을 가산연금으로 지급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 55조
Ⅳ. 비정규직과 유사근로자의 근로조건 보호
일용직, 계약직, 임시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직금, 직무교육, 작업복, 작업환경, 사회보험, 해고, 업무상재해,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과 관련한 세부조항을 기재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노동조합법 제4조 노동자의 정의규정에 따르면 “근로자라 함은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300원
- 등록일 2021.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정 복리후생에 대한 항목입니다. 귀하가 실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지 여부를 표기해 주십시오.
항목
적용
미적용
항목
적용
미적용
시간외수당(연장,야간,휴일) 주1회 유급휴일
월차휴가
연차휴가
□
□
□
□
□
□
□
□
퇴직금
사내 복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기준법 제24조(근로조건의 명시)의 개정안을 마련하였는데, 즉 제24조 제2항(신설)으로 “사용자는 제1항에 따라 임금 등을 정함에 있어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제55조(연장ㆍ야간 및 휴일)의 규정에 의하여 지급될 가산임금을 미리 포함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